
민족문학사연구소 12월 컬러퀴엄 : “조선 전기 수계본(須溪本) 시문집의 간행과 그 의의”
● 모시는 말씀 민족문학사연구소 12월 컬로퀴엄에서는 지난 6월 컬로퀴엄의 연속 기획으로 노요한 선생님(고려대)을 모시고 발표를 듣고자 합니다. 서지학과 문학 연구는 각각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연구 활동이 진행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서로가...
민족문학사연구소 2022년 5월 27일 컬로퀴엄
“고전문학과 아동문학 : '고전연구자와 동화작가의 만남'”
민족문학사연구소에서 고전문학과 아동문학의 현재와 미래를 논의해 보는 프로그램을 기획하였습니다. 고전문학연구자와 동화작가의 대담을 통해 고전문학의 동화화 현황을 검토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고전문학 및 아동문학 연구자, 그리고 작가가 함께 모여 학문적 교류와 소통을 이룰 수 있는 장이 되기를 바랍니다.
● 일시: 2022년 5월 27일(금) 15:00~16:40
● 장소: 온라인 회의 프로그램 ZOOM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개최
(회의 ID: 861 5598 1995 암호 : 683706)
정해왕 선생님
작가이자 ‘어린이책작가교실’대표.
1994년 『개땅쇠』로 제2회 MBC 창작동화 대상을 수상하면서 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펴낸 책으로 『나이도둑』, 『토끼 뻥튀기』, 『자린고비 일기』, 『거짓말 속의 참말』, 『대기만성 손만성』, 『고대로 멈춰라』, 『엄마, 고마워요』, 『위견전』, 『뺑덕의 눈물』 등이 있으며 『뺑덕의 눈물』로 대한민국 스토리 공모대전 우수상 수상을 하였다. 이외에 <금강초롱>, <한글 피어나다>, <오른발 왼발(번역)>이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정해왕, 『거짓말 속의 참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21.
정해왕, 『뺑덕의 눈물』, 시공사, 2016.
정해왕, 『자린고비 일기』, 시공주니어, 2008. 외
진은진 선생님
작가이자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고전문학 전공으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경희대학교에서 고전문학을 연구하는 교수로 활동 중이다. 1995년 <할머니의 날개>로 제3회 MBC 창작동화 대상을 수상하였다. 작가로도 활발히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펴낸 책으로 『마고할미는 어디로 갔을까』, 『우리 옛이야기 13가지』, 『흑설공주 이야기』(공저) , 『진은진 동화 선집』 등이 있다.
진은진, 「<심청전>의 어린이문학 변용 양상 - 2000년대 이후 창작동화를 중심으로 -」, 『공연문화연구』 36, 한국공연문화학회, 2018.
진은진, 「<토끼전>의 현대적 수용 양상과 전망 - 2000년대 이후 어린이 문학을 중심으로-」, 『판소리연구』 41, 판소리학회, 2016.
진은진, 『마고할미는 어디로 갔을까 : 진은진 창작동화』, 해토, 2003. 외
분기 단위로 연구소 활동을 알려 드립니다.
민족문학사연구소에서 주최하는
학술대회 일정을 알려 드립니다.
회원 여러분들의 회비가 어떻게 사용되었고,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투명하게 알려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