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족문학사연구소 2021년 하계 8월 석박사논문 집담회
모시는 말씀 민족문학사연구소에서 고전문학분과 석, 박사 논문 집담회를 기획하였습니다. 석,박사 논문 집담회에서 발표될 연구는 최근 2~3년 내에 석, 박사 학위를 받은 신생 연구자들의 성과들입니다. 새롭게 제출된 연구 주제와 시각, 방법론 등을...
민족문학사연구소 2022년 7월 1일 석・박사 논문 집담회
"고전문학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한 사례들"
한국 고전문학 젊은 연구자들의 새로운 연구 시각 혹은 패러다임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판소리는 지난 1966년 한 심포지움에서 그 장르적 성격 규명에 대한 논의가 촉발된 이후, 가장 한국적인 갈래로 혹은 동아시아 구술연행의 전통과의 관계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습니다. 이에 본 집담회에서는 최근 기존의 연구 성과와 다른 시각을 보여주는 두 편의 박사학위논문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21세기에 바라보는 새로운 신재효와 인지의미론을 바탕으로 새롭게 살피는 판소리 연행의 신체화 과정은 비단 판소리 연구 뿐만이 아니라, 한국 고전문학 연구의 새로운 준거점을 제시할 수 있는 작은 단초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일시 : 2022년 7월 1일(금) 14:00~15:20
● 장소 : 온라인 개최(온라인 회의 프로그램 ZOOM 이용)
(회의 ID: 830 8459 9209)
● 이해진, 「판소리 사설의 직조 방식과 의식 지향 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이채은, 「연행의 신체화 과정 연구 : 동초제 <춘향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분기 단위로 연구소 활동을 알려 드립니다.
민족문학사연구소에서 주최하는
학술대회 일정을 알려 드립니다.
회원 여러분들의 회비가 어떻게 사용되었고,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투명하게 알려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