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민족문학사연구소 11월 집중토론 "한문단형서사와 디지털 인문학의 만남은 가능한가?"



 ● 모시는 말씀


민족문학사연구소에서 부산대 점필재연구소 일반공동연구과제팀과 함께 “한문단형서사(야담,필기,패설,잡록...)와 디지털 인문학의 만남은 가능한가?”라는 주제로 토론의 장을 만들고자 합니다. 근자에 컴퓨터를 활용한 문학연구방법론의 쇄신과 전환은 다양한 형태로 시도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급격한 변화에 수반되는 의견의 층위도 실로 다양합니다. 특히 ‘소설’과 ‘설화’ 등의 문학장르에서는 이런 시도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반면, ‘한문단형서사’에서는 이와 같은 움직임이 부재했습니다. 한문단형서사의 데이터베이스화는 과연 필요한지, 관련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기대되는 장점과 단점, 예상되는 전망과 한계 등은 무엇일지,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을 모시고 다양한 의견을 나누어보고자 합니다. 관심있는 학계 선생님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일시 및 장소


● 주최 : 민족문학사연구소 연구기획위원회, 부산대 점필재연구소 일반공동연구과제팀(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 야담의 근대 전환 양상)

● 일시: 2021년 11월 26일(금) 16:00~18:00

● 장소: 온라인 회의 프로그램 ZOOM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개최.(다음 주소를 누르면 연결됩니다) (https://zoom.us/j/97877126742?pwd=SzlWSmF2NUp5L0d6Nnh5S0VpaDFuZz09) / (회의 ID: 978 7712 6742, 암호: minmun)


 ● 참가자


 ● 사회자: 권기성(창원대학교), 이승은(한림대학교)

 ● 토론자: 김유진(덕성여대)

  • 「[『溪西雜錄』의 轉移樣相」, 『한국한문학연구』80, 한국한문학연구, 2020.

  • 「[탁와 정기연의 산문세계」, 『한국학논집』82,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1.


 ● 토론자: 류인태(성균관대)

  • 「디지털 인문학과 한문학 연구 -고문헌 자료 대상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한문학논집』49, 근역한문학회, 2018.

  • 「읽는 17세기 재지사족의 [데이터로 읽는 17세기 재지사족의 일상 -『지암일기(1692-1699)』 데이터베이스 편찬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디지털 인문학은 인문학이다」, 『인문논총』77,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 토론자: 신상필(부산대)

  • 「[서사문학의 시대와 그 여정_17세기 소설사」, 소명출판, 2013.

  • 「[야담의 근대적 전환과 대중문화로서의 기획」, 『동남어문논집』45, 동남어문학회, 2018.


 ● 토론자: 이재연(UNIST)

  • 「[키워드와 네트워크: 토픽 모델링으로 본 <<개벽>>의 주제지도 분석」, 『상허학보』46, 상허학회, 2016.

  • 「['생활'과 '태도': 기계가 읽은 <<개벽>>과 <<조선문단>>의 작품 비평어와 비평가」, 『개념과 소통』18,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6.


 ● 프로그램




조회수 52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민족문학사연구소 10월 학술대회 : 고전문학속여성과하위주체의복원-굴절된시선,발굴의실마리,존재의 역사성

● 모시는 말씀 민족문학사연구소 산하 '성과 하위주체반'에서 10월 학술대회를 준비하였습니다. 지난 몇 해 동안 우리 사회는 공정과 차별 등 다양한 갈등으로 인해 시대적 몸살을 앓아왔습니다. 이러한 문제가 비단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겠으나, 갈등의 이면에는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하고 교묘해진 담론의 기능적 움직임이 포착됩니다. 매체의 다변화도 그 이유겠지만

bottom of page